본문 바로가기

통계의 미학(최제호) 독후감

728x90
반응형
"주장의 타당성을 증명하는 데 통계자료를 활용하거나, 통계자료를 근거로 한 주장의 타당성을 검토할 수 있는 통계 자료 이해 능력은 대다수의 현대인들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최제호)
저자 소개: 최재호

서울대 계산통계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은 지은이는 한국적 현실에 가장 맞는 통계학을 대중적 글쓰기를 통해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는 통계학자이다. 지은이는 통계가 세상을 읽는 유익한 학문이며, 사람들과 정보를 공유하고 의사소통할 수 있는 명쾌한 과학이라고 말한다. 1997년 서울대에서 품질공학(Quality Engineering) 관련 논문으로 통계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이후 삼성SDI에서 일했으며, 6시그마 컨설팅회사에서 POSCO, KT, 삼성, 한화, 산업은행 등의 회사를 고객으로 총 70건 이상의 6시그마 개선과제 프로젝트에 참여하였다. 현재는 BI(Business Intelligence) 전문회사인 디포커스(주)에서 IT기반으로 데이터의 활용을 통한 가치 창출 업무를 하고 있다. 저서로 『통계의 미학』,『EBS 지식 프라임』이 있다.

 

오늘은 이 저자가 집필한 책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통계의 미학(Statistical Thinking)'은 통계 전문가인 저자 최제호가 집필하였다.

그는 독자들이 통계 자료를 제대로 파악하고 통계학에 좀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이 책을 집필했다.

 

누구를 위한 책인가?

통계라면 눈살을 찌푸리고 보는 일반인, 통계를 업무에 반드시 활용해야 하는 직장인, 특히 머리를 싸매고 통계 자료를 해석해 논술을 써야 하는 수험생에게까지 두루 요긴하다.

 

저자는 "통계학을 아는 만큼 세상을 잘 보게 된다. 세상을 더 많이 잘 보고, 또 그만큼 세상과 친해지기를 바란다"고 힘주어 말한다. 한마디로 통계는 세상의 이면을 꿰뚫는 과학이라는 말이다.

책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통계적으로 사고하는 데 익숙해지기

첫째, 통계 자료의 수집과 정리, 분석 방법 등의 원리와 그에 활용된 관련 용어들에 익숙해지라. 둘째, 나누어 보는 방법, 즉 기본적으로 대상을 나누어서 접근하는 세분화 능력을 키워라. 셋째 다양한 관계를 이해하여 복잡한 인과 관계를 잘 풀어내라.

 

 

 

 내 감상

통계는 무엇일까? 나는 평소 TV의 뉴스나 인터넷 사이트의 신문 기사에서 통계를 사용하는 것을 아주 많이 봐왔었고, 다른 사람들도 물론 그럴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예를 들어서, 메르스 치사율에 대해 검색하여 보면 치사율 30%’라고 백 명 중에 몇 명이 사망하는지 확률로 나타나 보여주고 있다. 또한 사회과목 시간에서나 국어 비문학에서 1인당 국민 소득에 대해 나오고 이 지표의 문제점에 대해서도 배운 적이 있다. 이 자료만 보고서는 그 나라의 국민들의 생활수준에 대해 성급하게, 또 쉽게 판단 할 수 없으며, 빈부 격차에 대해 더 알아봐야 한다고 배웠다. 이 빈부격차는 어떠한 방법으로 알아보는지 궁금했다.

 

나아가, 모의고사 성적표에 있는 백분율이나 표준편차, 평균들을 보면서는 심리와 관련된 여러 논문들에 나오는 통계 자료들을 보면서 통계에 대해서 더 궁금해지기 시작하여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이 책, ‘통계의 미학이라는 제목을 보고 처음에는 매우 어려운 책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생각보다 그렇지는 않았다.

 

우리가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사례들을 들어서 어려운 개념들에 대해서 설명해주고 있어서 이해가 쉬웠다. 사실 이 모든 개념들을 이해하기는 좀 어려웠던 것은 사실이지만, 재미있는 부분들이 더 많이 기억에 남는다. 이 책을 보고 이렇게 빈부격차나 상위층에 부가 집중되어 있는 문제를 1인당 국민 소득만으로는 알아차리기 힘든데, 이를 알아차리기 위해서 1인당 국민 소득과 중앙값을 함께 보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다는 것을 배울 수 있었다. 또 통계를 어떻게 해석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인지에 대해서도 확실히 배워가는 것 같다.

 

 

통계가 마냥 재미없고 어렵게 느껴지신다면, 이 책을 추천드려요 >____<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