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경제
등장 배경 1. 실업문제, 빈부격차 해소를 위한 대안경제로서의 사회적경제 대두 2. 시민사회가 중심이 되어 지역공동체를 활성화한 사례 다수 존재 - (국외) 스페인 몬드라곤 협동조합복합체, 캐나다 퀘벡, 이탈리아의 볼로냐 등 - (국내) 성미산 마을공동체, 원주지역 협동 연합 등 3. 2012년 UN이 정한 ‘협동조합의 해’, 협동조합기본법 제정(2011.12) 개념 (정의) - 구성원간 협력·자조를 바탕으로 재화·용역 생산 및 판매를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민간의 모든 경제적 활동 - 국가·시대별 정의는 다양하나, ‘구성원 참여’를 바탕으로 ‘국가-시장 경계’에서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경제활동’을 의미 - 유사 개념 : 제3부문, 비영리섹터, 자발적영역, 연대경제, 시민경제 등 다양한 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