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외식산업은 최근 몇 년간 큰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COVID-19 팬데믹 이후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 외식산업 현황
2022년 말 기준 국내 외식시장 규모는 177조 원을 돌파하며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22.7% 성장했습니다[3]. 그러나 이는 단순한 매출 성장만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2023년 7월 국내 외식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약 3.30% 감소했습니다[3]. 이는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의 '3고' 시대로 인해 소비자들이 외식비를 줄이는 경향을 보여줍니다.
## 주요 트렌드
1. 초가성비 중심 소비: 경제적 부담을 덜기 위해 초저가, 초가성비 식당으로 소비자들의 관심이 이동하고 있습니다[3].
2. 디지털 전환: 외식업계에서도 디지털 기술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키오스크, 태블릿 주문기, 서빙로봇 등의 도입이 증가하고 있습니다[8].
3. 배달 서비스 확대: 전체 외식업체의 7.6%가 배달앱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입니다[5].
## 디지털 전환의 영향
서울 지역 음식점 2,000개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 키오스크 도입: 판매·서빙 직종 근로자의 고용 11% 감소
- 태블릿 주문기 도입: 판매·서빙 직종 근로자의 고용 7.6% 감소[8]
디지털 기기 도입의 주요 이유:
1. 인건비 절감
2. 정확한 매출정산
3. 고객의 대기시간 감소[8]
## 2025년 전망
한국외식산업경영연구원은 2025년 외식 트렌드를 다음과 같이 전망하고 있습니다:
1. 외식형태: 결정의 다각화, And 소비, 내시피의 확대, 저가의 공급, 집밥으로의 회귀
2. 소비감성&마케팅: 밴드 왜건(bandwagon), Young fifty, 팝업의 확대, 리얼 인증 마케팅, 경험 디자인
3. 메뉴: 푸드 밸런스(food balance), 건강식의 다양화, Free와 Low의 지속, 사이드 메뉴 특화, 로컬스토리
4. 경영: 승자독식(勝者獨食), 데이터의 고도화, 특화매장의 확대, In & Out Sourcing, 콘셉트 전쟁[4]
외식산업은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으며, 디지털 기술의 도입과 소비자 트렌드의 변화에 적응하는 것이 앞으로의 성공을 위한 핵심이 될 것입니다.
[1] https://www.hotelrestaurant.co.kr/news/article.html?no=15124
[2] https://www.etnews.com/20220721000166
[3] https://www.i-boss.co.kr/ab-74668-3863
[4] https://www.foodbank.co.kr/news/articleView.html?idxno=65628
[5] https://seo.goover.ai/report/202411/go-public-report-ko-c4f3488e-424e-4af0-b42a-60ea1c1ea722-0-0.html
[6] https://www.kfood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27879
[7] https://www.atfis.or.kr/fip/front/M000000266/board/view.do;jsessionid=B0AD353DC20D90B67E100259C4ACD9BB?articleId=5080
[8] https://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news_seq=16896
'Business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기와 기회: 이탈리아 사회적 경제의 도전과 잠재력 (1) | 2025.02.18 |
---|---|
2025년 이후를 지배할 주요 메가트렌드 (0) | 2025.02.16 |
플랫폼의 역할 (0) | 2022.06.17 |
사회적경제 (0) | 2022.01.25 |
광주형일자리 및 탄력근로제 (0) | 2022.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