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트렌드는 미국의 미래학자 존 나이스비트(John Naisbitt)가 1982년 저서 "Megatrends"에서 처음 제시한 개념으로, 현대 사회의 거대한 시대적 조류를 의미한다[1][3]. 나이스비트는 탈공업화 사회, 글로벌 경제, 분권화, 네트워크형 조직 등을 메가트렌드로 꼽았다[1].
최근 여러 기관에서 미래 메가트렌드를 전망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독일의 미래예측 전문컨설팅 그룹 체트 풍트(Z Punkt)는 도시화, 새로운 세계질서, 개인주의화, 글로벌 리스크 사회, 문화적 다양성 등을 20대 메가트렌드로 제시했다[6].
## 2025년 이후를 지배할 주요 메가트렌드
2025년 이후 글로벌 사회를 지배할 것으로 예상되는 주요 메가트렌드를 살펴보면:
### 1.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성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성이 가장 중요한 메가트렌드로 부상하고 있다. 탈탄소화(decarbonization)가 국제사회의 핵심 의제로 자리잡았으며, 많은 국가들이 205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2]. 기업들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도입하며 이에 대응하고 있다[5].
### 2. 디지털 전환 가속화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발전으로 디지털 전환이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의 기술이 산업 전반에 적용되면서 경제·사회 구조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7].
### 3. 인구구조 변화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가 지속될 것이다. 이는 노동시장, 연금제도, 의료서비스 등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4].
### 4. 글로벌 경제 질서 재편
미중 갈등 심화와 COVID-19 팬데믹을 계기로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는 국제 경제 질서의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전망된다[5].
### 5. 소비 트렌드 변화
COVID-19를 계기로 비대면·온라인 소비가 급증했으며, 이러한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MZ세대의 부상으로 가치 소비, 경험 소비 등 새로운 소비 트렌드가 확산될 전망이다[5].
이러한 메가트렜드는 상호 연관되어 있으며, 향후 정부와 기업의 정책 및 전략 수립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1] http://www.theprconsulting.com/?p=6904
[2] https://www.kistep.re.kr/boardDownload.es?bid=0031&list_no=35007&seq=12834
[3] https://www.krihs.re.kr/krihsLibraryDictionary/bbsView.es?pageIndex=6&num=87746
[4] https://trendytrend100.tistory.com/1
[5] https://www2.deloitte.com/kr/ko/pages/insights/articles/deloitte-korea-review/17-202102.html
[6] https://moment-tous.tistory.com/36
[7] https://4ir.kisti.re.kr/ick/cmmn/viewPost/20180227000016
[8] https://www2.deloitte.com/content/dam/Deloitte/kr/Documents/insights/deloitte-korea-review/17/kr_insights_deloitte-korea-review-17_full.pdf
'Business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기와 기회: 이탈리아 사회적 경제의 도전과 잠재력 (1) | 2025.02.18 |
---|---|
한국 외식산업의 현황과 2025년 전망: 변화와 도전의 시대 (0) | 2025.02.16 |
플랫폼의 역할 (0) | 2022.06.17 |
사회적경제 (0) | 2022.01.25 |
광주형일자리 및 탄력근로제 (0) | 2022.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