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5. 회계의 순환과정이란 무엇일까?
✅ 회계순환과정
- 회계거래의 식별
→ 일반거래인지 회계거래인지 구분 - 분개
→ 차변과 대변을 구분
→ 금액을 화폐로 측정 - → 발생한 회계거래의 계정을 결정
- 전기
→ 해당 계정별로 분류하여 옮겨 적는 것
- 개정별 잔액 산출
- 수정전 시산표 작성
- 수정분개
- 수정후 시산표/정산표 작성
- 재무제표 작성
- 분개: 회계거래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록할 장소(계정) 을 정하고→ 각 계정의 차변 또는 대변에 기록할 금액을 결정
ㄴ 차변: 왼쪽, 자산 증가, 비용발생 / 대변: 오른쪽, 자산 감소, 부채증가, 자본증가
- 원장: 계정과목별 기록장부.
- 총계정원장: 계정과목별 원장의 집합체
- 전기: 분개장의 분개지시에 따라 회계거래를 총계정원장에서 해당 계정의 원장을 찾아 기록에 옮기는 과정
자산, 비용: 증가 차변
ㄴ 부채, 자본, 수익: 증가 대변 자산의 증가가 차변이다!!!!!!
✅ 잔액시산표: 각 계정 차변잔액과 대변잔액 표시 (분개와 전기가 제대로 되었는지 검산)
ㄴ 기말자산+총비용=기말부채+기초자본+총수익
ㄴ 기말자산 = 기말부채 + [ 기초자본 + (총수익-총비용) ]
ㄴ 기말자산 = 기말부채 + 기말자본
✅ 수정분개: 일상의 거래기록과정에서 적정하게 측정하지 못한(까먹어서..) 회계기간의 수익과 비용을 발생기준에 따라 수정하는 것:
ㄴ '수익: 실현되었을 때 인식, 비용: 발생한 해당 기간에 귀속시키는 발생기준'을 보고 말 시점에서 구체적으로 점검하고 실행하는 기능.
ㄴ 즉, 현금기준과 발생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차이를 발생기준 관점에서 수정하기 위해 필요한 절차임.
💡 정리하자면! 수정분개는 발생주의 회계 개념에 근거해서 기록!!!
✅ 수정분개의 유형
- 발생분개 (실현 O, 수취 X → ex. 서비스를 제공했는데 돈을 아직 안줌)ㄴ 당기에 발생했으나 아직 현금을 지출하지 않은 비용의 인식 ex. 미지급비용
- ㄴ 당기에 실현되었으나 아직 현금을 수취하지 않은 수익의 인식 ex. 미수수익, 매출채권
- 이연분개 (실현 X, 수취 O → ex. 서비스를 제공안했는데 돈을 먼저줌)ㄴ 당기에 이미 현금을 지급했으나 아직 발생되지 않은 비용의 이연 ex.선급비용
- ㄴ 당기에 이미 현금을 수취했으나 아직 실현되지 않은 수익의 이연 ex. 선수수익
728x90
반응형
'Business >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 공부] 4. 현금 (0) | 2021.12.28 |
---|---|
[회계 공부] 4. 현금 (0) | 2021.12.28 |
[회계 공부] 3-2. 재무상태표 (0) | 2021.12.27 |
[회계 공부] 3-1. 포괄손익계산서 (0) | 2021.12.25 |
[회계 공부] 2. 현금 흐름 (1) | 2021.12.24 |